부가가치세(부가세) 신고와 납부는 사업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의무입니다. 2025년에는 부가세 신고 및 납부 기간에 변화가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부가세 신고기간과 납부기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2025년 부가세 신고 및 납부기간 변경사항
2025년 1월 부가세 신고 및 납부기간이 연장되었습니다. 당초 1월 27일까지였던 2024년 제2기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·납부기한이 1월 31일까지로 4일 연장되었습니다. 이는 신고기한 전후로 주말과 설 연휴가 이어져 있는 점을 고려한 조치입니다. 사업자들은 이 변경된 일정을 반드시 숙지하고 기한 내 신고 및 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.
과세유형별 부가세 신고 및 납부기간
부가세 신고 및 납부기간은 과세유형에 따라 다릅니다.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신고 및 납부기간을 구분하여 살펴보겠습니다.
일반과세자 신고 및 납부기간
일반과세자는 연 2회 부가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.
- 제1기 확정신고: 7월 1일 ~ 7월 25일 (1월 1일 ~ 6월 30일 실적)
- 제2기 확정신고: 다음해 1월 1일 ~ 1월 25일 (7월 1일 ~ 12월 31일 실적)
단, 2025년 1월 신고의 경우 앞서 언급한 대로 1월 31일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.
간이과세자 신고 및 납부기간
간이과세자는 연 1회 부가세를 신고하고 납부합니다.
- 신고 및 납부기간: 다음해 1월 1일 ~ 1월 25일 (1월 1일 ~ 12월 31일 실적)
2025년 신고의 경우 1월 31일까지로 연장되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2025년 부가세 관련 주요 변경사항
2025년부터 부가세 제도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. 이를 숙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간이과세 기준금액 상향 조정
2025년부터 간이과세자 기준금액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.
- 기존: 연간 매출 8,000만원 미만
- 변경: 연간 매출 1억 400만원 미만
이에 따라 더 많은 소규모 사업자들이 간이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전자신고 편의성 개선
국세청은 홈택스 전자신고 화면을 납세자 맞춤형으로 단순화하고, 신고서 자동 작성 기능을 도입하는 등 전자신고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했습니다. 또한 AI 전화상담을 24시간 제공하여 상담 편의를 높였습니다.
부가세 신고 및 납부 시 주의사항
부가세를 신고하고 납부할 때 다음 사항들을 주의해야 합니다.
- 신고기한 준수: 연장된 기한(1월 31일)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- 정확한 과세유형 확인: 일반과세자인지 간이과세자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.
- 매출·매입 내역 정확성 검토: 신고 전 모든 거래 내역을 꼼꼼히 확인합니다.
- 전자신고 활용: 홈택스나 손택스를 이용해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.
- 신용카드 발행세액 공제 활용: 해당되는 경우 최대 1,0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부가세 신고와 납부는 사업자의 중요한 의무입니다. 2025년 변경된 신고 및 납부기간을 숙지하고, 관련 제도의 변화에 대비하여 정확하고 시기적절한 신고를 하시기 바랍니다. 불확실한 점이 있다면 국세청 상담센터나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. 성실한 세금 신고로 건전한 사업 운영의 기반을 다지시길 바랍니다.


